2022년 공무직, 무기계약직, 계약직 보수표, 급여표, 호봉표 포함입니다.
- 중앙행정기관인 환경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- 지방 공무직은 예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- 다른 행정기관과 상이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참고용으로 보세요.
- 월급 기준이며, 몇몇 업종은 시급으로 적용됩니다.
- 급식비 매달 14만원, 복지포인트는 40만원, 명절 상여금 50만원씩 2번 총 100만원.
1. 사무원, 전화상담원, 사서 호봉표
- 호봉으로 책정되지 않은 기관도 있습니다.
- 기본급으로 2021년도 기본급여에서 1.8% 일괄 인상.
2. 전문연구원, 조사연구원, 시험연구원, 전문위원 등
- 승급시 임금 증가 폭이 큽니다.
- 급여는 기본급여로 수당 지급 시 나열된 금액으로 책정되어, 수당이 생각보다 쌥니다.
3. 운전원, 전산관리자, 안전관리자 등
- 시설관리원은 전산관리자와 비슷합니다.
- 조경관리원은 안전관리자와 비슷합니다.
- 다른 부서와 다를 수있습니다.
4. 조리원, 방호원, 청소 등
- 조리원, 방호원, 청소 근로자에 대해서는 최저임금 시간급 9,160원을 일괄 적용
- 근로기준법 제63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감시. 단속적 업무에 종사는 근로자는 근로시간, 휴게, 휴일 기전 적용 제외됩니다.
5. 에디터
- 다른 전문직에 비해 급여가 쌘편입니다.
- 지원자도 적은 편이여서, 취업은 쉽게 됩니다.
- 하지만 대부분 계약직으로 6개월~12개월 정도 채용이 대부분입니다.
참고사항
1. 근로기준법에 따라 주 40시간 근로시간 준수
- 워라벨이 가능합니다!!
2. 주당 연장근로 한도 12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의(승인을 얻을 경우 제외)
- 여기에 대해 주관적인 생각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공무직(무기계약직, 계약직)등은 모든 금액이 기본급으로 책정되기 때문에 수당이 쌘 편입니다. 그래서 부당수급 문제 등으로 언론에 많이 나오기도 하지요.
- 야근이나 주말 근무를 하는 경우라면,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 추가 근무는 1.5배 수당, 주말근무는 4시간만 할 수 있으며 수당 금액은 약 11만 원 정도입니다. 공무직 특성상 힘든 일은 거의 없고, 적게 일하고 많이 받는 편이기도 합니다.
- 하지만!! 초과근무나 주말근무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......
3. 연차유급휴가
- 적극 독려하는 편이고, 사용 시 특별한 사유를 적지 않아도 됩니다. 눈치 안 보고 적극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.
4. 작장내 따돌림, 성희롱, 괴롭힘
- 공무원 교육 및 홍보로 거의 없어지는 추세입니다.
- 여전히 남아 있는 곳이 있지만, 생각보다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해 주기 때문에 가해자를 다른 곳으로 이동 시키거나 징계를 강하게 합니다. 그리고 고충 상담시 적극 어필할 수 있는 소통 통로도 많이 마련되었습니다.
- 열 받으면 혼자 참지 말고 폭발해서 싸우세요. 그래도 됩니다!!!
5. 업무강도, 스트레스
- 공무직 등은 책임 있는 일을 하지 않습니다. 그래서 비교적 업무강도가 적은 편이며 스트레스 또한 적은 편이라고 할 수있습니다.
- 공공기관은 대부분 수익사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기업과 비교 시 마감시간과 업무 압박이 확실이 덜 합니다.
'생활 밀착형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어플을 이용하여 일회용컵 보증금 적립하는 쉬운 방법 (자원순환보증금 앱(어플)) (0) | 2022.05.06 |
---|---|
BTS '프루프(Proof)'로 6월 컴백!! 신곡은 3개 수록 (0) | 2022.05.06 |
공공기관 공무직, 무기계약직, 계약직 업종별 채용 기준 (0) | 2022.05.04 |
대기업 입사 지원 시 좋은 자격증 조합[feat.현실 조언] (0) | 2022.05.03 |
제약, 제조, 화학 등 산업체 시설 관리에 좋은 자격증 순위와 난이도 (0) | 2022.05.03 |